본문 바로가기
알쓸 정보/경제&재테크&정부지원

트럼프 관세에 아이폰 가격 급등? 한국 시장도 6% 인상 예상

by 김츄라이 2025. 4. 8.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연이은 관세 위협이 글로벌 IT 시장에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애플(Apple)은 직격탄을 맞았고, 미국 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아이폰 패닉바잉’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주요 매체들은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미리 사두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아이폰 매장에 몰린 소비자들, "지금 안사면 더 비싸질 것"

최근 미국 애플스토어는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쇼핑객들로 붐비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애플 매장이 마치 연말 쇼핑 시즌처럼 북적였다"고 표현하며, 고객 대부분이 "가격이 곧 오르느냐"고 물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플 직원들 역시 “확정된 것은 없지만, 지금 사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안내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산 아이폰에 적용되는 54% 관세가 발표된 직후 급속히 확산되었습니다. 현재 애플은 아이폰의 약 9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기에, 이 같은 고율의 관세는 곧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아이폰 가격, 최대 1.5배까지 인상 가능성?

UBS, JP모건 등 주요 글로벌 투자기관들도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 UBS는 아이폰16 프로맥스 가격이 최대 350달러(약 51만 원) 오를 수 있다고 밝혔으며,
  • JP모건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평균 6% 가격 인상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율을 부품 단위까지 분석한 결과, 아이폰 원가가 약 1.5배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폰16 프로 256GB 모델 기준 부품 원가는 549.73달러에서 846.59달러로 급등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국 시장에도 영향 있을까?

애플은 이미 주가가 3일 만에 19% 급락, 시가총액 938조 원이 증발하는 타격을 입었습니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로 인해 자국 기업조차 피해를 보는 역설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애플이 향후 어떤 생존 전략을 내놓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재고 확보와 지역별 분산 생산을 통해 단기 대응은 가능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대전환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애플의 다음 선택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닌, 미래 공급망 안정성 확보와 글로벌 시장 신뢰 회복에 달려 있습니다.

 

한국 역시 애플 제품 소비가 활발한 국가인 만큼, 관세 정책의 여파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글로벌 분석기관들은 애플이 미국 시장뿐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 아이폰 가격을 6% 이상 인상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한국도 이에 포함됩니다.

 

지금의 아이폰 16 프로맥스 1TB + 애플케어 포함 가격

 

관세 부담이 높아진 애플이 특정 지역에만 가격 인상을 적용하기보다, 전체 시장에 걸쳐 소폭씩 분산 인상하는 전략을 택할 경우 국내 소비자들도 아이폰17부터 가격 인상을 체감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율과 유통 마진 등을 감안하면, 국내 출고가는 지금보다 5만 원 이상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향후 애플의 공식 발표와 국내 출시 가격 정책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애플, 브라질·인도·베트남으로 생산 다변화 추진

애플은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거점의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미 애플은 브라질, 인도, 베트남 등에 일부 생산기지를 운영 중이며, 이들 국가의 관세율은 중국보다 낮은 편입니다.

 

애플의 인도 아이폰 공장 © SBS 뉴스

 

  • 브라질: 10% 관세율. 최근 아이폰13~16 시리즈까지 현지 조립을 시작했으며, 아이폰16 프로 생산도 검토 중입니다.
  • 인도: 26% 관세율. 아이폰 조립이 증가하고 있으나, 미국 수요의 절반 정도만 충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베트남: 46% 관세율. 애플워치, 에어팟, 아이패드 등 다양한 제품을 조립하고 있습니다.

 

관세율이 중국보다 낮은 만큼, 애플은 이들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으로 관세 부담을 분산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직 물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출시될 아이폰17 시리즈부터 본격적인 가격 인상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트럼프의 상호관세 폭탄, 한국에 25% 관세? 한국은 지금 얼마나 위험한가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전격 발표하며, 글로벌 통상 질서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한국 역시 예외 없이 25% 고율 관세를 부과받으며

gotrygo.com

 

 

반응형

댓글